원로 조각가 박석원(82·사진)의 초기 화두는 ‘절단’이었다. 작가는 6·25전쟁의 상처가 채 아물기 전인 1960년대에 20대를 보냈다. 전쟁 직후 한국 사회가 품었던 시대적 상실감을 철 용접의 방식으로 날카롭게 풀어냈다. ‘황폐해지고 못쓰게 된 땅’을 뜻하는 ‘초토’(1967) 등으로 젊은 혈기를 표출했고, 회복할 수 없는 자연에 대한 분노를 드러냈다.
상처에 새살이 돋아나듯, 폐허가 된 땅에도 새로운 생명이 쌓여갔다. 움직이지 않을 것 같던 작가의 마음도 시간이 흐르며 변했다. 1980년대 전후로 절단뿐 아니라 축적을 아우른 ‘적의(積意)’ 시리즈를 작업하기 시작했다. 최근 만난 박 작가는 “쌓고 부수며 다시 쌓는 행위가 지금껏 나를 끌고 왔다”며 “그 반복의 몸짓 자체에 생명이 있음을 느낀다”고 말했다.
상처에 새살이 돋아나듯, 폐허가 된 땅에도 새로운 생명이 쌓여갔다. 움직이지 않을 것 같던 작가의 마음도 시간이 흐르며 변했다. 1980년대 전후로 절단뿐 아니라 축적을 아우른 ‘적의(積意)’ 시리즈를 작업하기 시작했다. 최근 만난 박 작가는 “쌓고 부수며 다시 쌓는 행위가 지금껏 나를 끌고 왔다”며 “그 반복의 몸짓 자체에 생명이 있음을 느낀다”고 말했다.
January 22,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