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K EUN SUN: Time of a Breathing Stone

16 May - 30 June 2018
Overview
“All the arts are Hermes-esque. Otherwise, they are not art. A Hermes-esque poet does not Understand. He sees.”
- H. Rombarch
 
 
“모든 예술은 헤르메스적이다. 그렇지 않다면 그것은 예술이 아니다. 헤르메스적인 시인은 이해하지 않는다. 그는 본다.”
- H. 롬바흐

PARK EUN SUN: Time of a Breathing Stone

16 May - 30 June 2018

The Page Gallery EAST

 

Eun-sun Park acquired a taste of stone as a material while learning sculpture in Korea, before leaving to follow a lifelong friend to Italy. Since then, she has been practicing the same routine for twenty-five years now. She works the same hours every day and gets along with the same neighborhoods. Historian Yuval Noah Harari speculates that religion or ideology was the only power, with which the ancient people could set up the gigantic monument that weighs over fifty tons and as large as 30m in width in Göbeklitepe, Turkey. Through such a historic relic, we learn that the carved stone stele is not merely a record of the dead, preserved in nature, but a symbol of aspiration for the afterlife and an entity of memory. Like the ancient monument, the sculptures of Eun-sun Park hold a certain aspiration. As the simple act of piling up a stone pagoda has been being repeated throughout the eons of time, the chasm, or the crack, of her sculpture exists like a micro-universe which bolsters and maintains this world. It is also a space-time in which the East and the West, the Western concept of infinity and the Eastern idea of circulation, encounter one another.

_ Hyun Jung(Art Critic, Inha University)

 

 

박은선: 숨 쉬는 돌의 시간

16 May - 30 June 2018

더페이지 갤러리  EAST

 

박은선은 조각을 배우면서 돌의 맛을 알게 되었고, 그 이후에는 자신에게 가장 어울리는 평생의 벗인 돌을 좇아 이탈리아로 떠난다. 그리고 마치 돌탑을 쌓아올리듯 25년간 같은 행위를 반복하고 있다. 매일 같은 시간에 맞춰 작업을 진행하고, 매일 같은 이웃과 어울린다. 역사학자 유발 하라라는 터키 남동부의 괴베클리 테페 지역 유적지에서 50톤이 넘는 폭이 자그마치 30미터가량 되는 거대한 기념비를 세울 수 있는 유일한 근거는 종교나 이데올로기로 추측한다. 우리는 이처럼 과거를 통하여 돌을 깍아 세운 비석이 단지 죽은 자연 위에 새긴 의미의 기록에 머물지 않고 삶 이후의 삶을 위한 기원이자 기억의 존재임을 배울 수 있다. 박은선의 조각은 고대의 기념비처럼 어떤 바람이 담겨 있다. 돌탑을 쌓는 단순한 행위가 억겁의 시간을 뛰어넘어 현재에도 존재하듯, 그의 조각의 틈-균열은 단단한 세계를 지탱시켜주는 소우주와 같다. 그곳은 또한 동양과 서양, 무한이란 서양의 진리와 순환이란 동양의 진리가 마주치는 시공간이다.

정현(미술비평인하대)

Installation 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