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I MYOUNG YOUNG Korean, b. 1941

Overview
Born in Haeju, Hwanghae Province, North Korea, in 1941, Choi Myoung Young led Korean art as a founding member of Origin (1962- ) and the Korea Avant-Garde Group (A.G., 1969-1975), art groups that played major roles in the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
 
Choi Myoung Young first formulated his will toward the flat surface through Satori (悟), a piece exhibited at the founding Origin exhibition in 1963. Since then, his Satori (悟) series has evolved further, as it was exhibited at the Paris Biennale (1967) and the Sao Paulo Biennale (1969). In Choi's early works, he tried to annihilate the material in a plane by repeatedly grinding the colored surface with sandpaper and to spiritualize matter by repeatedly rubbing matter on a flat surface with a finger. These approaches became the basis for the series Conditional Planes (平面條件), which he has continued from the mid-1970s to the present day.
 
Choi Myoung Young, who had early searched for a new formative order for contemporary Korean art, is regarded as a Dansaekwha (Monochrome) artist most faithful to the “process.” As one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Dansaekhwa artists, along with Seo Bo Park (b. 1931), Hyong Keun Yun (1928-2007), and Chang Seb Jung (1927-2011), he is emerging as a blue chip of Korean monochromatic painting. His works were introduced to the public through exhibitions at Galerie Perrotin in Paris in 2016 and Tokyo Opera City Art Gallery in Japan in 2017, making us realize the popularity of Dansaekhwa in both East and West.
 
His works are in the collections of renowned art museums at home and abroad, such as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Seoul Museum of Art (SeMA), Leeum Samsung Museum of Art, Tokyo Metropolitan Art Museum, and Mie Prefectural Art Museum.
 
 
1941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난 최명영은 대한민국 근∙현대 미술사에서 주요 역할을 한 미술단체인 오리진 (Origin, 1962-) 및 한국아방가르드협회 (A.G, 1969-1975)의 창립 멤버로 활약하며 한국 화단의 흐름을 이끈 인물이다.
 
최명영은 1963년 오리진 창립 전시 출품작인 <> (悟)를 통해 그의 평면화 의지에 대한 시작을 알린 후, 그의 <> 연작은 파리 비엔날레 (1967) 및 상파울루 비엔날레 (1969) 전시를 거치며 더욱 진보하게 된다. 색 면을 사포로 거듭 갈아내어 물질을 평면 속에 소멸시키는 작업과 질료를 손가락으로 평면 위에 반복적으로 문질러 “물질의 정신화”를 의도하는 작업으로 완성된 초기 최명영의 작업은 1970년대 중반부터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는 <평면조건 (平面條件)> 시리즈의 밑거름이 된다.
 
일찍이 당대 대한민국 미술이 지향해야 할 새로운 조형 질서를 모색한 최명영은 “과정”에 가장 충실한 단색화가로 손꼽히고 있으며, 박서보 (b. 1931), 윤형근 (1928~2007), 정창섭 (1927-2011) 등과 함께 대한민국 단색화 1세대 작가 중 한 명으로서 한국 단색조 회화의 블루칩으로 떠오르고 있다. 2016년 파리 페로탱 갤러리 및 2017년 일본의 도쿄오페라시티 아트갤러리 전시를 통해 그의 작품이 소개되면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단색화의 인기를 실감케 했다.
 
그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리움삼성미술관, 도쿄도미술관, 미에현립미술관 등 국내외 유수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Exhibitions
Video
Publications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