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IK NAM JUNE Korean, 1932-2006

Overview

Born in Seoul in 1932, Paik spent his middle-school days in Seoul and Hong Kong, and his high-school days in Kamakura, Japan. He studied aesthetics in the University of Tokyo, with a graduation thesis on Arnold Schönberg. Moving to Germany in 1956 and studying European philosophy and modern music, he came to work actively with contemporary avant-garde artists and began to carve out his artist-identity by doing radical performances which were completely different from artistic canons and conventions back then. Afterwards he pursued a novel path of art making by means of new media. His media art gained momentum by his first solo show Exposition of Music—Electronic Television in which he presented televisions with inner circuits modified and manipulated, as a work of art.

In 1964 Paik migrated to the U.S. where he developed his video art in full swing. Not only producing video images, he combined them with sculptures and installations, and even created a video synthesizer, a machine to process images. His incessant exploration about music and the body was also a key factor in constructing a distinct territory of his art. From the 1980s Paik realized a series of global projects, such as Good Morning, Mr. Orwell, to tear down barriers between avantgarde art and popular culture by satellite TV technology. He won the Golden Lion of the 1993 Venice Biennale for his work on the theme of artist as nomad in the German Pavilion. Later on he expanded his technological realm into other media like laser, and while suffering a stroke since the mid-1990s, he never ceased to take his artistic step forward until he passed away in Miami in 2006.

Paik is a pioneering media artist working with various technologies in experimental ways. He saw the artist’s role as consisting in thinking about the future and sought for better ways of global communication through art. 

(Text by Nam June Paik Art Center)

 

1932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과 홍콩에서 중학교를, 일본 가마쿠라에서 고등학교를 다녔고 도쿄대학교에 진학해 미학을 전공한 후,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음악으로 졸업 논문을 썼다. 1956년 독일로 건너가 유럽 철학과 현대 음악을 공부하는 동안 동시대 전위 예술가들과 활발하게 교류하면서 기존의 예술 규범, 관습과는 다른 급진적 퍼포먼스로 예술 활동을 펼쳤다. 이 때부터 새로운 미디어를 이용한 예술의 방식을 모색하기 시작했고, 1963년 텔레비전의 내부 회로를 변조하여 예술 작품으로 표현한 개인전 《음악의 전시 ― 전자 텔레비전》을 통해 미디어 아티스트의 길에 들어섰다.

백남준은 1964년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본격적으로 비디오를 사용한 작품 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비디오 영상뿐만 아니라 조각, 설치 작품과 비디오 영상을 결합하고, 자유자재로 편집할 수 있는 비디오 신디사이저를 개발하였으며, 여기에 음악과 신체에 관한 끊임없는 탐구까지 더해져 백남준만의 독보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하였다. 


1980년대부터는 <굿모닝 미스터 오웰>을 필두로 위성 기술을 이용한 텔레비전 생방송을 통해 전위 예술과 대중문화의 벽을 허무는 글로벌 프로젝트를 기획하였으며, 1993년 베니스비엔날레에 독일관 대표로 참가하여 유목민인 예술가라는 주제의 작업으로 황금사자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후 레이저 기술에까지 영역을 확장해 나가던 가운데 1990년대 중반 뇌졸중이 발병했다. 하지만 2006년 마이애미에서 타계할 때까지 백남준은 예술적 실천을 멈추지 않았다. 백남준은 미디어 아트의 개척자로서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실험적이고 창의적으로 작업했던 예술가이다. 예술가의 역할이 미래에 대한 사유에 있다고 보았으며 예술을 통해 전지구적 소통과 만남을 추구했다.

(글. 백남준아트센터)

 
Exhibitions